돌 위에 남은 스님의 숨결, 여주 고달사지 승탑
― 통일신라의 사라진 사찰에서 만난 진정한 고요
여주 북쪽 산자락, 풀과 나무 사이를 걷다 보면
마치 세월이 멈춘 듯한 공간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곳은 한때 거대한 사찰이 있었던 자리, 고달사입니다.
지금은 대부분의 건물이 사라지고 그 흔적조차 희미하지만,
그 자리 위에 조용히 서 있는 고달사지 승탑은
오랜 세월을 넘어선 스님의 마지막 쉼터로 남아 있습니다.
여주 고달사지 승탑 기본 정보
-
명칭: 여주 고달사지 승탑 (4호)
-
시대: 통일신라 10세기경
-
재질: 화강암
-
형태: 8각 원당형 석탑
-
높이: 약 4.6m
-
위치: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고달사지 내
-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
의의: 통일신라 말기 고승의 사리를 봉안한 대표적 승탑이자, 조각 예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문화재
![]() |
여주 고달살지 승탑 (출처-국가유산포털) |
사라진 절터 위에 남은 탑 하나
고달사는 고려 초까지 큰 영향력을 가진 사찰이었으나,
조선 시대 이후 폐사되어 지금은 절터만 남아 있습니다.
고달사지 승탑은 그 사찰에 머물렀던 한 스님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세워진 묘탑,
즉 스님의 삶과 죽음을 기념하는 영적 기념물입니다.
절은 사라졌지만, 이 탑은 당시의 불교 신앙과 예술,
그리고 스님을 기리는 깊은 존경심이 어떤 형태로 남았는지를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 |
옥개석과 상륜부 (출처-국가유산포털) |
조용한 탑, 하지만 정교한 아름다움
고달사지 승탑은 8각 원당형 구조를 갖춘 석조 탑으로,
기단(기초 부분)부터 옥개석(지붕 부분)까지 정밀한 조각이 가득합니다.
각 면에는 사천왕상과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어
당시 조각 기술의 뛰어남과 종교적 상징성을 동시에 보여줍니다.
특히 이 승탑은 비례가 매우 안정적이며,
탑 전체에서 느껴지는 단아하고 조용한 아름다움은
말기 통일신라 석조 예술의 전형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 |
여주 고달사지 승탑 (출처-국가유산포털) |
왜 이곳에 스님의 탑을 세웠을까?
승탑은 아무 곳에나 세워지는 것이 아닙니다.
특정 스님이 머물렀던 사찰, 그리고 그 생애와 가르침이 기억될 만한 곳에만 건립됩니다.
고달사지 승탑 역시 누군가에게는 스승이었고,
누군가에게는 깨달음의 길을 안내한 스님의 최종적인 기억의 형태입니다.
비문이나 탑 안의 사리함은 소실되었지만,
이 석탑 자체가 그 시대 불교의 믿음과 의식을 증명하는 유산입니다.
![]() |
중대석용두 (출처-국가유산포털) |
돌 위에 깃든 시간, 그 앞에서 우리는 무엇을 느낄까
탑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무언가를 말하지 않아도 느껴집니다.
자연 속에 녹아든 돌의 온기, 깎여진 조각의 숨결,
그리고 오랜 시간의 무게가 남긴 고요함.
고달사지 승탑은 화려하지 않지만 진심이 있는 유산입니다.
절터는 사라졌고 사람들도 떠났지만,
이 작은 석탑은 여전히 시간을 넘어서 전해지는 스님의 마지막 가르침을 품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