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로 지은 목탑, 그 완벽한 균형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들려주는 백제 건축의 정수
― 무너진 왕국의 중심에서 만나는 조용한 완벽함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였던 부여.
그 땅을 걷다 보면, 한눈에 시선을 빼앗는 탑 하나가 있습니다.
화려하거나 거대하지도 않지만, 그 어떤 탑보다 균형 잡힌 안정감과 단아한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탑.
바로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입니다.
이 탑은 백제가 멸망하고, 그 자리에 세워진 절터에서 천 년 넘게 한 자리를 지켜온 침묵의 구조물입니다.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기본 정보
-
명칭: 국보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9호)
-
시대: 백제 말기 또는 통일신라 초기(7세기경)
-
재질: 화강암
-
형태: 목조 건축을 모방한 5층 석탑
-
높이: 약 8.3m
-
위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정림사지
-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
의의: 백제 탑 양식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 석탑으로, 목탑의 구조와 비례미를 석조로 완성한 기념비적 유산
돌로 만든 나무탑, 백제 건축미의 결정체
정림사지 오층석탑의 가장 큰 특징은 목탑의 구조를 완벽히 모방했다는 점입니다.
탑의 각 층은 실제 나무 건물처럼 지붕 선이 부드럽게 퍼지고,
지붕 아래에는 처마와 닮은 받침돌이 반복되며,
전체적으로 단정하고 정제된 비례를 유지합니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인 모방이 아니라,
백제가 지닌 고유의 건축미와 미적 감각이 석조라는 재료로 옮겨진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탑을 정면에서 바라보면, 각 층이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들며
놀라울 정도로 균형 잡힌 실루엣을 이룹니다.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출처-국가유산포털) |
폐허 위에 남은 탑, 그리고 발견된 비문
정림사지라는 이름은 원래 ‘정림사’라는 절이 있었던 자리라는 뜻입니다.
백제 멸망 이후, 이곳은 한동안 신라의 불교 중심지로 이용되었고,
탑 주변에서는 당시 사찰의 기단, 주춧돌, 기와 조각 등이 다수 발굴되었습니다.
특히 이 탑에서는 뜻밖의 유물도 발견되었는데,
탑신 내부에서 “당나라 장수가 백제를 멸망시킨 후 이를 기념하며 세운 글귀”가 새겨진 비편이 나왔습니다.
이는 정림사지가 백제의 폐허 위에, 신라와 당나라가 주도한 새로운 질서의 일부로 재구성되었음을 상징합니다.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출처-국가유산포털) |
절제된 아름다움, 한국 석탑의 원형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백제 양식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 석탑이자,
후대 석탑—예컨대 통일신라의 불국사 삼층석탑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원형(原型)으로 평가받습니다.
그 미감은 결코 화려하지 않지만, 담백하고 고요한 조화미는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깊은 감동을 줍니다.
그 어떤 조형물보다 '건축적 사유'가 느껴지는 석탑.
이 탑은 단순한 불탑이 아니라, 백제의 미학과 정신, 그리고 역사적 운명을 모두 담은 구조물입니다.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출처-국가유산포털) |
백제는 무너졌지만, 탑은 남았다
백제는 660년에 멸망했지만,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그 자리를 떠나지 않았습니다.
천 년이 넘는 세월 동안 전쟁과 풍화를 견디며,
그 시대가 추구했던 미(美)의 완성형을 지금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부여를 찾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탑 앞에 서게 됩니다.
그리고 말하지 않아도 느끼게 됩니다.
“이곳이, 백제의 마음이 남은 자리”라는 것을.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