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 위에 세운 삼층의 믿음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이 지켜온 천년의 고요
― 자연과 가장 가까운 탑, 그 위에 깃든 신앙과 석공의 미감
높은 절벽도, 화려한 경내도 없는 산속 외딴 암자.
그런 고요한 공간 한가운데,
거친 바위 위에 그대로 세워진 석탑 하나가 있습니다.
전각도 없이 오직 탑만이 자리를 지키는 그곳.
남원 실상사의 부속 암자인 백장암,
그리고 그 위에 우직하게 서 있는 삼층석탑은
자연과 불심, 그리고 장인의 손길이 조화를 이룬 특별한 유산입니다.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기본 정보
-
명칭: 국보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국보)
-
시대: 통일신라 후기 (9세기경)
-
재질: 화강암
-
형태: 삼층 석탑, 2단 기단 위 3층 탑신 구성
-
높이: 약 3.4m
-
위치: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실상사 백장암
-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
의의: 자연 암반 위에 직접 세워진 독특한 구조의 석탑으로, 불교의 청정성과 자연미가 조화를 이루는 문화재
바위 위에 그대로 세워진 탑
이 석탑의 가장 큰 특징은 건축 기반이 따로 없는 채, 거대한 자연 바위 위에 바로 세워졌다는 점입니다.
기단석을 깔지 않고 암반을 다듬어 그 위에 탑을 올린 구조는 매우 이례적이며,
이는 백장암이 지닌 자연 친화적 불교 공간의 특수성을 보여줍니다.
암반은 흙과 분리된 단단한 기반이며,
그 위에 세워진 탑은 자연과 인공의 경계를 허문 듯한 인상을 줍니다.
자연을 그대로 수용하고, 그 위에 믿음을 더한 공간—
바로 이것이 이 석탑의 미학입니다.
3층탑신과 상륜부 (출처-국가유산포털) |
작지만 정갈한 탑, 그 속의 석공예 정수
백장암 삼층석탑은 크지 않습니다.
높이 약 3.4미터로, 손을 뻗으면 닿을 수 있을 만큼 낮은 편에 속합니다.
그러나 탑의 각 층은 균형감 있게 조화되어 있고, 옥개석의 처마 곡선 또한 매우 섬세합니다.
특히 상륜부는 손상되었으나, 원래는 노반과 보주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절제된 장식과 비례는 통일신라 말기 석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며,
불필요한 장식을 덜어낸 순수한 조형미는 오히려 강한 여운을 남깁니다.
초층탑신의 사천왕상과 동자상 (출처-국가유산포털) |
이름도 없는 바위가, 믿음의 터가 되다
이 탑이 세워진 곳은 본래 이름 없는 암반이었습니다.
하지만 석탑이 세워지고, 그 주변에 암자가 지어지며
이곳은 기도와 수행, 명상과 정진의 장소가 되었습니다.
지금도 백장암은 단정한 전각 하나 없이 조용히 명맥을 이어가고 있으며,
탑은 그 중심에서 마치 도량의 주인처럼 묵묵히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남아 있는 건 탑 하나뿐이지만
실상사 본사와는 거리가 떨어진 백장암.
그곳에 탑 하나만이 남아 있다면,
누군가는 ‘왜 여기에 이것만 있지?’라고 물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백장암 삼층석탑은 그 자체로 완결된 공간입니다.
자연과 신앙, 인간의 기술이 더 이상 추가하지 않아도 되는 완성형으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작고 조용하지만,
그 앞에 서면 마음이 저절로 내려앉고,
돌 속에 담긴 천년의 기도가 들려오는 듯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